청약통장 월 납입 인정금액이 41년 만에 10만 원에서 25만 원으로 상향되면서 혼란스러운 분들이 많습니다. 그 변화의 핵심과 실제 납입 방법, 혼동하기 쉬운 포인트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첫 입금 10만 원, 나중에 15만 원 더 넣었는데 괜찮을까?
3월에 청약통장을 만들고 첫 달에 10만 원을 입금한 상황.
25만 원 상향 소식을 듣고 뒤늦게 15만 원을 추가 입금했지만, 이 금액이 4월분으로 처리되어 버림.
그럼 4월 25일에 25만 원을 다시 넣어도 되는 걸까?
결론부터 말하면 문제 없습니다.
청약통장 월 납입 인정금액, 정확히 알아두세요
2023년 11월 1일부터 월 납입 인정금액이 기존 10만 원에서 25만 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여기서 꼭 알아야 할 핵심.
- 청약통장에 실제 입금한 금액 ≠ 인정되는 금액
- 매달 인정되는 최대 납입금은 25만 원까지
- 그 이상을 넣어도 인정은 25만 원까지만
그러니까 4월에 15만 원을 추가로 넣었더라도
4월 인정금액이 25만 원을 초과하지 않는 한, 4월 25일에도 25만 원 입금 OK입니다.
꾸준함이 생명입니다
청약은 단발성 저축이 아닙니다.
한 번에 1천만 원을 넣어도 청약 점수엔 무용지물.
매달 일정하게, 꾸준히 입금한 사람에게 점수를 더 줍니다.
✔️ 특히 국민주택 청약은 ‘납입 횟수’가 핵심.
✔️ 민영주택은 ‘예치금’이 중요하지만, 가입기간도 중요.
청약통장 납입, 이렇게 관리하면 됩니다
매달 25일 자동이체로 설정하세요
- 원하는 날짜 지정 가능
- 놓치지 않고 납입 횟수 인정
입금 금액 확인은 ‘청약홈’에서
- ‘청약홈’ 접속 → 청약통장 → 조회하기
- 인정 납입횟수, 예치금 상태 확인 가능
상황별 추천 납입 전략
아직 통장이 없음 | 지금 즉시 가입, 납입 없어도 가입기간 카운트됨 |
금액 고민 중 | 25만 원으로 자동이체 설정, 빠른 만점 전략 |
여유가 없음 | 2만 원이라도 매달 납입, 횟수가 더 중요 |
예전에 미리 납입함 | 은행 방문해서 25만 원으로 수정 요청 가능 |
만 34세 이하 청년 | 청년 주택 드림 청약통장으로 전환, 최대 4.5% 금리 |
청약통장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청약통장 매달 다른 날짜에 넣어도 되나요?
→ 인정만 받으면 무관하지만, 자동이체 추천합니다.
25만 원보다 적게 넣으면 불이익 있나요?
→ 가점에는 영향 없지만, 최대 인정금액을 못 채움.
한 달에 2번 나눠서 넣어도 되나요?
→ 합산해서 25만 원 이하면 한 달로 인정됩니다.
25만 원 넘게 넣으면 어떻게 되나요?
→ 초과금은 인정 안 되고 예치금으로만 계산됩니다.
예치금과 납입금은 어떤 차이인가요?
→ 예치금은 총 잔액, 납입금은 횟수로 점수 매깁니다.
핵심 정리 한 줄 요약
청약통장은 ‘매달 25만 원씩 꾸준히’가 최적의 전략입니다.
'* 경제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제에게 차량 넘길 때, 몰랐다면 손해 보는 명의이전 세금 (0) | 2025.04.23 |
---|---|
알바 중인 대학생도 신용카드 만들 수 있을까? 조건 총정리 (1) | 2025.04.22 |
호가창과 차트 등락률이 다른 이유, 3초 만에 이해하는 법 (1) | 2025.04.21 |
빚갚기 플랜 정리: 월급 250으로 1억 갚는 법 (0) | 2025.04.19 |
한성크린텍 주가 급락 이유와 실적 분석, 지금 매수해도 될까? (2)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