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정보 *

호가창과 차트 등락률이 다른 이유, 3초 만에 이해하는 법

by 맑은눈 곰돌이 정 2025. 4. 21.
반응형

등락률이 다르게 표시되는 이유와 정확한 기준가 확인법을 알려드립니다.
주식 초보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사례 중심으로 쉽게 설명합니다.


주식차트 등락률, 왜 다르게 나올까?

아침 9시.
시작과 동시에 급등한 주가를 보며 손이 먼저 움직였습니다.


그런데… 어라? 차트에 표시된 등락률이 뭔가 이상합니다.

 

차트 스케일엔 -1.08%인데, 상단 가격엔 +3.77%.
이거 둘 다 맞는 걸까요?


차트에서 등락률 표기가 다른 이유 질문 지식인
차트에서 등락률 표기가 다른 이유 질문 지식인

전일 종가 vs 실시간 체결가, 기준이 다릅니다

주식 등락률은 딱 한 가지만 기준으로 하지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두 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 차트 오른쪽 스케일: 전일 종가 기준
  • 상단 또는 호가창: 현재 체결가 또는 당일 고가 기준

이 기준 차이 때문에 같은 시점에서도 등락률이 다르게 보이는 거죠.

특히 장중 변동이 큰 날엔 차이가 더욱 도드라집니다.


지식인 주식창
지식인 주식창

실제 사례로 쉽게 이해하기

4월 21일, 한 종목의 데이터입니다.

  • 전일 종가: 7,857원
  • 현재가: 8,250원
  • 최고가: 8,730원

상단에 표시된 등락률은 +300원(3.77%).
이는 전일 종가 7,857원 대비 현재가 8,250원 기준입니다.

 

반면, 차트에는 -1.08%로 표시됐습니다.
이건 고점 8,730원 대비 하락한 비율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헷갈리지 않으려면 여길 보세요

반응형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준은 차트 오른쪽 스케일 등락률입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항상 일정하게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호가창이나 상단 등락률은 장중 체결가 기준으로 변동될 수 있어요.


등락률이 다른 이유
등락률이 다른 이유

상황별 기준가 확인 팁

  1. 정확한 등락률을 알고 싶다면?
    → 차트 오른쪽 스케일을 기준으로 판단하세요.
  2. 호가창 등락률이 너무 높거나 낮다면?
    → 실시간 거래 기준일 수 있으니 현재가와 전일 종가를 직접 비교하세요.
  3. 뉴스에 나오는 등락률이랑 다를 때
    → 대부분 전일 종가 기준이니, 차트 기준으로 맞춰보세요.

정확한 등락률 확인법
정확한 등락률 확인법

주식차트 등락률 표기, 많이 하는 질문들

주식 등락률은 왜 계속 변하나요?
→ 체결가가 계속 바뀌기 때문입니다.

 

가장 정확한 등락률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 차트 오른쪽 가격 스케일이 기준입니다.

 

호가창 등락률은 믿어도 되나요?
→ 실시간 기준이므로 참고만 하세요.

 

차트 등락률이 마이너스인데 수익이 나요
→ 고점 대비 하락률이니 오해 마세요.

 

장 시작 전에도 등락률이 보이는데 왜죠?
→ 전일 종가 대비 예상 체결가 기준입니다.


딱 하나만 기억하세요

차트 스케일의 등락률이 가장 정확합니다.
기준은 항상 ‘전일 종가’입니다.
나머지는 실시간 참고용일 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