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락률이 다르게 표시되는 이유와 정확한 기준가 확인법을 알려드립니다.
주식 초보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사례 중심으로 쉽게 설명합니다.
주식차트 등락률, 왜 다르게 나올까?
아침 9시.
시작과 동시에 급등한 주가를 보며 손이 먼저 움직였습니다.
그런데… 어라? 차트에 표시된 등락률이 뭔가 이상합니다.
차트 스케일엔 -1.08%인데, 상단 가격엔 +3.77%.
이거 둘 다 맞는 걸까요?
전일 종가 vs 실시간 체결가, 기준이 다릅니다
주식 등락률은 딱 한 가지만 기준으로 하지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두 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 차트 오른쪽 스케일: 전일 종가 기준
- 상단 또는 호가창: 현재 체결가 또는 당일 고가 기준
이 기준 차이 때문에 같은 시점에서도 등락률이 다르게 보이는 거죠.
특히 장중 변동이 큰 날엔 차이가 더욱 도드라집니다.
실제 사례로 쉽게 이해하기
4월 21일, 한 종목의 데이터입니다.
- 전일 종가: 7,857원
- 현재가: 8,250원
- 최고가: 8,730원
상단에 표시된 등락률은 +300원(3.77%).
이는 전일 종가 7,857원 대비 현재가 8,250원 기준입니다.
반면, 차트에는 -1.08%로 표시됐습니다.
이건 고점 8,730원 대비 하락한 비율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헷갈리지 않으려면 여길 보세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준은 차트 오른쪽 스케일 등락률입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항상 일정하게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반면, 호가창이나 상단 등락률은 장중 체결가 기준으로 변동될 수 있어요.
상황별 기준가 확인 팁
- 정확한 등락률을 알고 싶다면?
→ 차트 오른쪽 스케일을 기준으로 판단하세요. - 호가창 등락률이 너무 높거나 낮다면?
→ 실시간 거래 기준일 수 있으니 현재가와 전일 종가를 직접 비교하세요. - 뉴스에 나오는 등락률이랑 다를 때
→ 대부분 전일 종가 기준이니, 차트 기준으로 맞춰보세요.
주식차트 등락률 표기, 많이 하는 질문들
주식 등락률은 왜 계속 변하나요?
→ 체결가가 계속 바뀌기 때문입니다.
가장 정확한 등락률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 차트 오른쪽 가격 스케일이 기준입니다.
호가창 등락률은 믿어도 되나요?
→ 실시간 기준이므로 참고만 하세요.
차트 등락률이 마이너스인데 수익이 나요
→ 고점 대비 하락률이니 오해 마세요.
장 시작 전에도 등락률이 보이는데 왜죠?
→ 전일 종가 대비 예상 체결가 기준입니다.
딱 하나만 기억하세요
차트 스케일의 등락률이 가장 정확합니다.
기준은 항상 ‘전일 종가’입니다.
나머지는 실시간 참고용일 뿐입니다.
'* 경제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바 중인 대학생도 신용카드 만들 수 있을까? 조건 총정리 (1) | 2025.04.22 |
---|---|
25만 원 청약통장 납입법, 자동이체만으로 점수 올리는 법 (0) | 2025.04.21 |
빚갚기 플랜 정리: 월급 250으로 1억 갚는 법 (0) | 2025.04.19 |
한성크린텍 주가 급락 이유와 실적 분석, 지금 매수해도 될까? (2) | 2025.04.19 |
향촌현대5차 리모델링 기대감, 현실 가능성은? (3)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