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활 정보 *

피칸 묘목 가격부터 피칸 농장 준비까지

by 맑은눈 곰돌이 정 2025. 4. 12.
반응형

피칸 묘목, 병충해에도 강하고 오래 수확 가능한 귀한 견과류예요

피칸 묘목은 병충해와 추위에 강해 재배가 쉬우면서도 수익성 높은 작물로 주목받고 있어요. 접목묘부터 재배법, 가격, 지원제도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호두보다 나은 견과류 없을까 고민하셨다면

호두나 밤은 이미 많이들 재배해서 가격이 들쭉날쭉하고,
병충해에도 민감해 매년 관리에 진이 빠진다는 분들 많으시죠.

 

이럴 땐 관리가 쉬우면서도 단가 높은 견과류,
피칸 나무 묘목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어요.

 

출처 : 유튜브 키움묘목농원[나무&귀농]

아래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유튜브 영상으로 연결 됩니다.

 

피칸 묘목 설명 영상
피칸 묘목 설명 영상


요즘 귀농인 사이에서 뜨는 피칸, 왜 주목받을까요?

피칸 묘목, 어떤 장점이 있을까?

병충해·추위에 강해 재배가 쉬워요

피칸은 내병성과 **내한성(추위 견디는 힘)**이 뛰어나요.
영하 30도에서도 잘 자라며, 병충해에 강해
딱히 농약을 자주 치지 않아도 건강하게 버팁니다.

심어두면 수십 년 수확 가능

1회 식재 후 제대로 자리만 잡으면
수십 년 동안 안정적인 수확이 가능해요.
나무 수명도 길어서 농장 운영에 지속성이 좋아요.

일반 호두보다 맛과 단가가 좋아요

피칸은 호두보다 고소하고 부드러워
고급 견과류 시장에서 인기가 많고,
국내에서는 유통량이 적어 판매 단가도 유리한 편이에요.

반응형

 


피칸 묘목, 어디서 어떻게 구입할까?

피칸 나무 묘목 구입 방법

인터넷 농업 법인·묘목 농가

‘피칸 묘목 판매’, ‘접목 피칸나무’ 키워드로 검색하면
전국에 다양한 묘목 농가가 나와요.
경북, 전남, 충북 등에서 활발히 판매 중이며
전화 주문, 택배 발송도 가능합니다.

지역 농업기술센터 활용

거주지 관할 농업기술센터에 문의하면
검증된 묘목 생산지 정보나 시범사업도 소개받을 수 있어요.
귀농인이라면 묘목 구입비 지원사업 대상이 될 수도 있으니 함께 확인해보세요.


피칸묘목가격, 접목묘 vs 실생묘 어떻게 다를까?

  • 접목묘: 약 1~2만 원 선, 빠르면 4~5년 내 수확
  • 실생묘: 5천 원~1만 원 미만, 수확까지 9~10년 소요

접목묘는 수확까지 시간이 짧고 품종이 보장되기 때문에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에겐 접목묘가 유리해요.


어떻게 심고, 관리하면 될까?

피칸 농장 조성 및 관리 요령

토양과 배수

피칸은 뿌리가 깊게 자라는 심근성 나무라서
배수성이 좋은 흙이 가장 중요해요.
처음 심을 땐 두둑을 높이거나 블록을 쌓아
물 빠짐을 도와주세요.

식재 간격

나무 사이 간격은 최소 7m, 넓게는 10m 이상이 좋아요.
성목이 되면 크기가 크기 때문에
좁게 심으면 나중에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어요.

수분과 비료 관리

  • 초창기 1~2년은 물 주기와 지주목 고정이 중요해요.
  • 비료는 유기질 위주로 소량만. 질소 성분 과다 사용은 피해주세요.

수분수 확보

피칸은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 다 피지만,
두 품종 이상 혼합 식재하면 수분율이 더 좋아져요.
접목묘를 구매할 때도 서로 다른 품종으로 구성하는 게 좋습니다.


지원 받을 수 있는 제도도 있어요

피칸 묘목 재배 시 활용할 수 있는 지원 제도

귀농창업자금

  •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운영하는 귀농 창업 융자 프로그램
  • 농지 구입, 시설비, 묘목 구입 등 폭넓게 활용 가능
  • 최대 3억 원까지, 연 1% 금리로 지원

지역 농업기술센터 교육 및 컨설팅

  • 작목별 재배 교육, 병해충 예방 정보 제공
  • 수확 후 판매 전략까지 1:1 상담 가능
  • 농작물 재배 캘린더와 월간 작황 리포트도 활용 가능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 호두 대신 고소한 견과류 찾는 분들
  • 장기적인 수익을 원하는 귀농인
  • 관리 부담은 적고 수익은 높은 작물을 찾는 분들

피칸 농장은 아직 국내에서 경쟁자가 적고
고급 견과류 시장이 커지는 흐름이라
앞으로 더 주목받을 품목이에요.

 

지금 묘목부터 알아보시고,
내년에 땅이 비어 있다면 시험 삼아 소규모로 심어보셔도 좋아요.


지역 농업기술센터에 전화 한 통이면 필요한 정보는 대부분 얻을 수 있어요.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