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과 (눈) 건강의 모든 것 *

렌즈 낀 눈이 충혈됐을 때 대처법과 재착용 시기 안내

by 맑은눈 곰돌이 정 2025. 5. 4.
반응형

렌즈를 낀 채로 눈이 충혈됐다면 절대 그냥 넘기지 마세요. 단순 피로일 수 있지만, 각막에 손상이 생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렌즈 착용 후 눈 충혈의 원인과 대처법, 다시 착용해도 되는지 여부까지 명확히 안내드립니다.


눈이 충혈된 상태에서 렌즈 껴도 될까?

딱 한 부분만 충혈됐다고 안심하면 안 됩니다.
방치하면 각막염이나 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요.

 

렌즈를 다시 착용해도 되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기준이 필요합니다.
특히 데일리렌즈를 사용하는 분들도 예외는 아닙니다.


눈 충혈 렌즈 착용 질문
눈 충혈 렌즈 착용 질문

렌즈 착용 후 눈 충혈, 자주 발생하는 상황

  • 렌즈를 오래 착용한 날
  • 손으로 눈을 비빈 직후
  • 렌즈 보관 용액이 눈에 맞지 않을 때

이런 경우 눈 안의 실핏줄이 터지거나 각막에 상처가 생길 수 있어요.
특히 각막 상처는 통증이 없어 놓치기 쉬워 더 위험합니다.


충혈된 상태에서 렌즈 착용, 절대 하면 안 되는 이유

반응형

렌즈를 다시 끼는 순간,
이미 손상된 눈에 이물질이 더해지는 겁니다.

 

회복 중인 눈에 렌즈를 착용하면
각막염, 알레르기 결막염, 안구건조증 등 2차 질환으로 번질 수 있어요.

 

즉답: 눈이 충혈된 상태에서는 절대 렌즈 착용을 하지 마세요.


충혈된 눈에 렌즈 착용은 절대 금지
충혈된 눈에 렌즈 착용은 절대 금지

눈 충혈 시 실천해야 할 관리법

  1. 렌즈 즉시 제거
    렌즈는 최대한 빨리 빼고, 하루 이상 착용 금지.
  2. 손으로 눈 비비지 않기
    손에 있는 세균이 각막 상처에 침투할 수 있습니다.
  3. 인공눈물 사용
    무방부제 인공눈물로 하루 4~5회 이상 점안.
  4. 휴식
    눈이 스스로 회복할 수 있도록 조명이 낮은 환경에서 휴식.
  5. 24시간 이상 충혈 지속 시 안과 진료
    단순 피로가 아닌 경우일 수 있으므로 전문 진단 필요.

렌즈는 언제 다시 껴도 될까?

반응형

충혈이 완전히 사라지고
눈에 통증, 이물감, 뻑뻑함이 전혀 없어졌을 때만 가능합니다.

 

회복 후 처음 렌즈를 낄 때는
하루 3시간 이내로 착용 시간을 짧게 시작하세요.

 

가능하면 데일리렌즈로 바꾸고,
손 위생과 보관 용액 관리도 철저하게 바꾸는 걸 추천드립니다.


렌즈 다시 착용하는 시기
렌즈 다시 착용하는 시기

렌즈 착용 후 눈 충혈 많이 하는 질문들

렌즈 끼고 자고 일어났더니 충혈됐는데 괜찮을까요?

→ 절대 괜찮지 않습니다. 당장 렌즈를 빼고 인공눈물을 넣어야 합니다.

충혈이 하루만에 사라졌어요. 다시 껴도 될까요?

→ 이물감이나 통증이 전혀 없고, 하루 더 쉬는 것이 안전합니다.

흰자 한쪽만 충혈됐는데도 병원 가야 하나요?

→ 24시간 이상 지속되면 꼭 안과에 방문하세요.

평소에도 충혈이 자주 되는데 렌즈 써도 되나요?

→ 만성 안구질환 가능성이 있으니 검진 후 결정해야 합니다.

인공눈물만 넣어도 충분한가요?

→ 증상에 따라 다르지만, 완치 전까지 렌즈 착용은 금물입니다.


충혈된 눈엔 ‘절대 렌즈 금지’가 정답입니다

눈이 보내는 위험 신호를 무시하지 마세요.
충혈은 그 자체로 렌즈 착용 중단 사유입니다.
하루라도 방치하면 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025.05.03 - [* 안과 (눈) 건강의 모든 것 *] - 한달 렌즈 유효기간 지났는데 착용해도 될까? 단 5분 착용도 위험한 이유

 

한달 렌즈 유효기간 지났는데 착용해도 될까? 단 5분 착용도 위험한 이유

렌즈 유효기간을 넘겨 착용하면 눈에 어떤 위험이 생기는지, 왜 사용기한이 존재하는지, 단 몇 분의 착용이 왜 위험한지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정보.민증 찍으려고 한달 렌즈 다시 낀다고요?

bb.it4989.co.kr

2025.05.04 - [* 안과 (눈) 건강의 모든 것 *] - 눈 아프고 붓는데 멀쩡? 겉으론 안 보여도 염증 가능성

 

눈 아프고 붓는데 멀쩡? 겉으론 안 보여도 염증 가능성

눈 아래 통증과 붓기가 안약을 써도 낫지 않는다면 단순한 다래끼나 피로가 아닌 감염성 염증일 수 있어 조기 대처가 중요합니다.눈 아래가 아픈데 겉은 멀쩡할 때, 불안하지 않으셨나요?아무것

bb.it4989.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