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과 (눈) 건강의 모든 것 *

뇌진탕 증상 기절 후 어떻게 해야 하나요? 수면 주의사항까지

by 맑은눈 곰돌이 정 2025. 4. 18.
반응형

뇌진탕 증상과 수면 가능 여부에 대해 실질적인 응급 상황 대처법과 주의사항을 상세하게 알려드립니다.


머리를 세게 부딪히고 잠시 기절했어요

갑자기 뛰다가 구조물에 머리를 부딪히고 뒤통수를 바닥에 강하게 찧었어요.

기절 후 정신을 차렸지만 기억이 잘 안 나고, 후두부와 턱이 찌릿하고 아픕니다.

혹과 찰과상 외엔 외상은 없지만, 통증이 계속되고 있어 걱정이 되죠.


뇌진탕인지 의심되는 지식인
뇌진탕인지 의심되는 지식인

뇌진탕인데 자도 될까요? 절대 그냥 넘기지 마세요

단순한 타박상처럼 보일 수 있지만, 증상은 절대 가볍지 않습니다.

많은 분들이 “잠시 쉬면 괜찮아지겠지”라고 생각하지만 뇌진탕은 절대 방치하면 안 됩니다.

뇌진탕은 외상이 없어도 뇌 안에 손상이 있을 수 있고,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요.


지금 당장 병원 가야 하는 이유

다음과 같은 경우엔 즉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1. 잠시라도 의식을 잃었을 경우
  2. 사고 직후 기억이 잘 나지 않는 경우
  3. 통증이 심하거나 찌릿한 느낌이 계속될 때
  4. 구토, 어지럼증, 복시 등 동반 증상이 있을 때
  5. 점점 졸음이 몰려올 때

특히 기절했거나 기억이 흐릿하다면 CT나 MRI로 뇌출혈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뇌진탕 위험 신호
뇌진탕 위험 신호

수면을 취해도 될까요? 그 전에 이것부터 확인하세요

혼자 수면을 취하는 건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기절하거나 혼미한 상태 이후엔 일정 시간 동안 관찰이 필요해요.

병원에서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안전하며, 최소한 24시간은 의식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런 증상이 있다면 뇌진탕 가능성 높습니다

  • 머리를 부딪힌 후 어지럽고 속이 울렁거림
  • 사고 전후 상황이 잘 기억나지 않음
  • 목 뒤나 머리, 턱 주변이 찌릿하거나 아픔
  • 눈이 피로하고 집중력이 떨어짐
  • 평소와 다르게 멍하거나 느려진 느낌

뇌진탕은 외부에서 보기엔 멀쩡해 보여도 뇌 안에서 진행될 수 있어 반드시 병원 검진이 필요합니다.


수면 전 반드시 확인
수면 전 반드시 확인

뇌진탕 증상일 때 응급 대처 방법

반응형

다음은 응급상황 시 실천할 수 있는 간단한 가이드입니다.

  • 절대 혼자 두지 마세요
  • 수면을 취하려 할 경우 반드시 누군가 옆에서 의식 상태를 확인해야 해요
  • 통증이 점점 심해진다면 바로 119나 응급실 방문
  • 기억이 잘 안 나거나 눈동자가 흔들리는 경우도 병원으로 이동
  • 자가 진단하지 말고 영상검사 필수

뇌진탕 자주 묻는 질문들

뇌진탕 증상인데 자도 되나요?
기절했거나 기억이 없으면 자는 건 위험합니다. 반드시 병원 진료 후 결정하세요.

 

병원에 꼭 가야 하나요?
네. 뇌출혈 여부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영상 검사로 확인해야 합니다.

 

기억이 잘 안 나는데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지나요?
그럴 수도 있지만, 악화되는 경우도 많아 무조건 검사가 필요합니다.

 

통증이 없어졌다면 괜찮은 건가요?
아닙니다. 뇌 손상은 몇 시간 뒤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MRI 말고 CT만 찍어도 되나요?
초기 진단엔 CT가 우선이며, 필요 시 MRI로 정밀 확인합니다.


핵심만 정리합니다

기절, 기억상실, 찌릿한 통증이 있다면 무조건 병원 가야 합니다.

혼자 자면 위험하니 주변 사람과 함께 있어야 합니다.

뇌진탕은 절대 스스로 판단하지 마세요.

반응형